반응형
reshape 함수를 사용합니다. 아래와 같이 사용합니다.
import numpy as np
a=np.array([[1,2,3],[4,5,6]])
>>> a.reshape((-1,1))
array([[1],
[2],
[3],
[4],
[5],
[6]])
-1이 뭔지 궁금해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-1은 열벡터로 만들겠다는 뜻입니다. -1,1 은 열벡터로 만들고 원소 하나씩을 갖게 하겠다는 의미입니다. -1,2 는 열벡터로 만들고 원소 두개씩을 갖게 합니다.
>>> a.reshape((-1,2))
array([[1, 2],
[3, 4],
[5, 6]])
반응형
'머신러닝을 위한 파이썬 기초 > 넘파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파이썬 numpy] 비어있는 배열 만들고 원소 추가하기 (3) | 2024.10.13 |
---|---|
[파이썬 numpy] 벡터와 행렬의 연산 이해하기 (0) | 2024.10.12 |
[파이썬 넘파이] 크기, 차원, 행 수, 전체 원소 수 (0) | 2023.10.11 |
[파이썬 넘파이] 반올림, 올림, 버림 (0) | 2023.10.11 |
[파이썬 넘파이] 배열에서 최댓값 및 최솟값 위치 출력 (0) | 2023.09.21 |
댓글